1대1 문의
 

변호사시험 로스쿨(LEET)
사법연수원 PSAT
5급공채/입법 법원행정고시
이벤트/할인/리퍼
공인회계사 세무사
법무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행정사
법원직 경찰간부/승진
경찰채용 해양
한국사능력검정 어학시험
글씨교정 법원실무서
배송조회

 

 
HOME > 도서/서브노트 상세

크게보기
(양장제본)2025 행정법 강해 제13판[한정판]
정선균 l 필통북스
56,700원  정가 63,000  (-6,300원 할인)
930 쪽 ㅣ 2025년 02월 21일
1708625
567 원
0원 추가 스프링분철제본

장바구니담기 내보관함담기 바로구매하기
     
  • 이 책을 사용하는 강의
  • 이 책에 대한 보충자료
  • 관련상품
  • 책소개
  • 인기 수험용품
  • 교환 및 반품정보
이 책을 사용하는 강의가 없습니다.
  • 이 책을 사용하는 강의
  • 이 책에 대한 보충자료
  • 관련상품
  • 책소개
  • 인기 수험용품
  • 교환 및 반품정보
이 책에 대한 보충자료가 없습니다.
  • 이 책을 사용하는 강의
  • 이 책에 대한 보충자료
  • 관련상품
  • 책소개
  • 인기 수험용품
  • 교환 및 반품정보
  • 이 책을 사용하는 강의
  • 이 책에 대한 보충자료
  • 관련상품
  • 책소개
  • 인기 수험용품
  • 교환 및 반품정보


■ 책 소개 ■


이번 개정판은 2024년에 나온 중요한 판례를 반영하고, 개정된 법률을 반영하였습니다.
부디 이 책이 행정법을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가이드로 활용되기를 기원합니다.



2025년 1월 15일


법학박사 정선균

제1편 행정법통론 1 
제1장 행 정 3 
제1절 행정의 의의 3 
제2절 통치행위 3 
제2장 행정법 7 
제1절 행정법의 의의 7 
Ⅰ. 행정법의 의의 7 
Ⅱ. 공법과 사법의 구별 7 
제2절 법치행정의 원리 11 
Ⅰ. 의 의 11 
Ⅱ. 내 용 11 
제3절 행정의 법 원칙 15 
Ⅰ. 비례의 원칙 15 
Ⅱ. 신뢰보호의 원칙 17 
Ⅲ. 평등의 원칙과 행정의 자기구속의 원칙 26 
Ⅳ.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30 
제3장 행정상의 법률관계 33 
제1절 개 설 33 
제2절 행정상의 법률관계의 당사자 35 
Ⅰ. 개 설 35 
Ⅱ. 행정주체 35 
Ⅲ. 행정객체 39 
제3절 행정상의 법률관계의 내용 40 
Ⅰ. 개 설 40 
Ⅱ. 개인적 공권 40 
Ⅲ. 개인적 공의무 45 
Ⅳ. 공법상 지위의 승계 45 
제4절 특별권력관계이론 49 
제5절 행정법상의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52 
제1항 기간의 계산 및 법 적용의 기준시 52 
Ⅰ. 행정에 관한 기간의 계산 52 
Ⅱ. 법 적용의 기준시 53 
제2항 사인의 공법행위 54 
Ⅰ. 의 의 54 
Ⅱ. 종 류 54 
Ⅲ. 사인의 공법행위의 하자와 행정행위의 효력 54 
Ⅳ. 사인의 공법행위로서 신고 56 
제2편 행정작용법 67 
제1장 행정입법 69 
제1절 개 설 69 
Ⅰ. 행정입법의 의의 및 종류 69 
Ⅱ. 법규명령과 행정규칙의 구별에 대한 견해의 대립 69 
제2절 법규명령 72 
Ⅰ. 의 의 72 
Ⅱ. 종 류 72 
Ⅲ. 법규명령의 한계 74 
Ⅳ. 법규명령의 적법요건 76 
Ⅴ. 법규명령의 하자 77 
Ⅵ. 법규명령의 통제 80 
Ⅶ. 행정입법부작위 83 
제3절 행정규칙 86 
Ⅰ. 의 의 86 
Ⅱ. 종 류 86 
Ⅲ. 행정규칙의 효력 87 
Ⅳ. 행정규칙의 통제 88 
제4절 형식과 실질의 불일치 90 
Ⅰ. 이른바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 90 
Ⅱ. 이른바 행정규칙 형식의 법규명령(=법령보충규칙) 93 
제2장 행정행위 97 
제1절 행정행위의 개념 97 
제2절 행정행위의 종류 101 
제1항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101 
Ⅰ. 기속행위와 재량행위의 구별 101 
Ⅱ. 자유재량행위와 기속재량행위의 구별 107 
Ⅲ. 판단여지 109 
제2항 단계적 행정행위 112 
Ⅰ. 가행정행위 112 
Ⅱ. 사전결정과 부분허가 113 
제3항 제3자효 행정행위 115 
제4항 대인적 행정행위와 대물적 행정행위 117 
제5항 법률행위적 행정행위와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118 
Ⅰ. 개 설 118 
Ⅱ. 하 명 118 
Ⅲ. 허 가 119 
Ⅳ. 면 제 123 
Ⅴ. 특 허 124 
Ⅵ. 인 가 127 
Ⅶ. 공법상의 대리 130 
Ⅷ. 확 인 130 
Ⅸ. 공 증 131 
Ⅹ. 통 지 132 
Ⅺ. 수 리 133 
제3절 행정행위의 부관 134 
Ⅰ. 부관의 의의 및 종류 134 
Ⅱ. 부관의 한계 136 
Ⅲ. 부관의 하자가 주변 행위에 미치는 영향 138 
Ⅳ. 부관에 대한 행정쟁송 140 
제4절 행정행위의 적법요건 및 효력발생요건 144 
Ⅰ. 개 설 144 
Ⅱ. 행정행위의 적법요건 144 
Ⅲ. 행정행위의 효력발생요건 145 
제5절 행정행위의 효력 147 
Ⅰ. 공정력 147 
Ⅱ. 구성요건적 효력과 선결문제 147 
Ⅲ. 불가쟁력과 불가변력 152 
Ⅳ. 집행력 156 
제6절 행정행위의 하자 157 
Ⅰ. 하자있는 행정행위 157 
Ⅱ. 위헌결정의 효력 163 
Ⅲ. 행정행위의 하자의 승계 165 
Ⅳ. 하자있는 행정행위의 치유 173 
Ⅴ. 하자있는 행정행위의 전환 176 
제7절 행정행위의 취소·철회 및 실효 178 
Ⅰ. 행정행위의 취소 178 
Ⅱ. 행정행위의 철회 181 
Ⅲ. 행정행위의 실효 184 
제3장 그 밖의 행정의 주요행위형식 186 
Ⅰ. 확 약 186 
Ⅱ. 행정계획 189 
Ⅲ. 공법상 계약 195 
Ⅳ. 행정상의 사실행위 199 
Ⅴ. 행정지도 201 
제3편 행정절차·행정정보공개·개인정보보호 205 
제1장 행정절차 207 
제1절 행정절차의 의의 207 
제2절 행정절차법의 주요내용 207 
제1항 총 칙 207 
Ⅰ. 적용범위 및 적용배제 207 
Ⅱ. 관할 및 행정응원 211 
Ⅲ. 당사자 등 212 
Ⅳ. 대표자와 대리인 213 
제2항 처분절차 215 
Ⅰ. 사전통지 215 
Ⅱ. 의견청취 218 
Ⅲ. 이유제시 221 
Ⅳ. 그 밖의 처분절차 223 
제3절 절차하자가 있는 처분의 법적 효과 227 
제4절 복합민원절차로서 인허가의제 231 
제2장 행정정보공개 237 
제1절 개 설 237 
Ⅰ. 행정정보공개제도의 의의 237 
Ⅱ. 행정정보공개청구권 237 
제2절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의 중요 내용 238 
제3장 개인정보보호 258 
제1절 개 설 258 
제2절 개인정보 보호법의 중요 내용 258 
Ⅰ. 개인정보 258 
Ⅱ. 정보주체와 개인정보처리자 259 
Ⅲ. 권리구제 260 
제4편 행정상의 의무이행확보수단 265 
제1장 개 관 267 
제2장 행정강제 268 
제1절 개 설 268 
제2절 행정상 강제집행 269 
Ⅰ. 행정대집행 269 
Ⅱ. 이행강제금 277 
Ⅲ. 행정상 직접강제 281 
Ⅳ. 행정상 강제징수 282 
제3절 행정상 즉시강제 285 
제4절 행정조사 289 
제3장 행정벌 295 
제4장 새로운 의무이행확보수단 299 
Ⅰ. 과징금 299 
Ⅱ. 관허사업의 제한 301 
Ⅲ. 위반사실 등의 공표 302 
제5편 행정구제법 305 
제1장 개 설 307 
제2장 행정상 손해전보 308 
제1절 국가배상 308 
제1항 개 설 308 
Ⅰ. 국가배상의 의의 308 
Ⅱ. 국가배상법의 법적 성격 308 
Ⅲ. 국가배상법에 의한 배상책임의 종류 309 
제2항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310 
Ⅰ. 개 설 310 
Ⅱ. 배상책임의 성립요건 310 
Ⅲ. 국가배상책임의 성질과 피해자의 선택적 청구권 인정여부 328 
제3항 관용차의 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331 
제4항 공공시설 등의 설치·관리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334 
Ⅰ. 개 설 334 
Ⅱ. 배상책임의 성립요건 334 
Ⅲ. 국가배상법 제5조의 규정과 국가배상법 제2조의 규정의 경합 339 
제5항 배상책임자 및 구상권 340 
Ⅰ. 배상책임자 340 
Ⅱ. 구상권 347 
제6항 손해배상액·배상청구권 행사의 제한·배상절차 350 
Ⅰ. 손해배상액 350 
Ⅱ. 국가배상청구권의 행사의 제한 351 
Ⅲ. 국가배상의 청구절차 357 
제2절 행정상의 손실보상 358 
제1항 개 설 358 
Ⅰ. 행정상 손실보상의 의의 358 
Ⅱ. 손실보상과 국가배상의 관계 358 
Ⅲ. 손실보상청구권의 법적 성격 359 
Ⅳ. 손실보상의 기준 361 
제2항 손실보상의 이론적 근거 : 경계이론과 분리이론 362 
제3항 손실보상청구권의 요건 363 
제4항 보상규정의 흠결시 권리구제수단 366 
제5항 행정상 손해전보제도의 흠결과 그 보완 369 
Ⅰ. 개 설 369 
Ⅱ. 수용유사침해와 수용적 침해 369 
Ⅲ. 희생보상청구권 370 
Ⅳ. 결과제거청구권 371 
제6항 공법상 부당이득반환청구권 374 
PART 01 개 관 376 
PART 02 이의신청 377 
PART 03 행정심판 380 
제1절 개 설 380 
Ⅰ. 행정심판의 개념 380 
Ⅱ. 행정심판과 이의신청의 구별 381 
Ⅲ. 행정심판의 목적(기능) 387 
Ⅳ. 우리나라 행정심판제도의 발전과정 388 
제2절 행정심판의 종류 393 
Ⅰ. 일반행정심판 393 
Ⅱ. 특별행정심판 394 
제3절 행정심판의 당사자 및 관계인 395 
제4절 행정심판위원회 397 
제5절 행정심판의 청구요건 401 
제6절 행정심판의 가구제 408 
제7절 행정심판의 심리 412 
제8절 행정심판의 재결 416 
Ⅰ. 재결의 의의 416 
Ⅱ. 재결의 종류 416 
Ⅲ. 재결의 효력 419 
Ⅳ. 위원회의 직접 처분과 간접강제 422 
Ⅴ. 재결에 대한 불복 425 
제9절 행정심판의 조정 428 
제10절 고지제도 429 
PART04 행정소송 434 
제1절 개 설 434 
Ⅰ. 행정소송의 의의 434 
Ⅱ. 행정소송의 목적 434 
Ⅲ. 우리나라 행정소송제도의 발전 435 
Ⅳ. 행정소송의 한계 436 
Ⅴ. 행정소송의 종류 441 
제2절 항고소송 444 
제1항 취소소송 444 
제1목 개 설 444 
제2목 소송요건 448 
제1관 개 설 448 
제2관 대상적격 453 
Ⅰ. 처 분 453 
Ⅱ. 재 결 484 
제3관 원고적격 493 
Ⅰ. 당사자능력과 당사자적격 493 
Ⅱ. 취소소송의 원고적격 494 
제4관 협의의 소의 이익 512 
제5관 피고적격 524 
제6관 제소기간 532 
제7관 전심절차 541 
제8관 관할법원 546 
Ⅰ. 일반법원으로서의 행정법원 546 
Ⅱ. 관 할 546 
Ⅲ. 사건의 이송 549 
제3목 관련청구소송의 이송․병합 552 
제4목 공동소송 및 소송참가 558 
Ⅰ. 공동소송 558 
Ⅱ. 소송참가 559 
제5목 소의 변경 565 
제6목 행정소송의 가구제 571 
Ⅰ. 개 설 571 
Ⅱ. 집행정지 571 
Ⅲ. 민사집행법상의 가처분의 허용 여부 583 
제7목 행정소송의 심리 586 
Ⅰ. 개 설 586 
Ⅱ. 심리의 내용 586 
Ⅲ. 심리의 범위 587 
Ⅳ. 심리의 절차 587 
Ⅴ. 주장책임 591 
Ⅵ. 증명책임(입증책임) 592 
제8목 위법판단의 기준시 594 
Ⅰ. 신청에 대한 처분의 경우 594 
Ⅱ. 제재처분의 경우 595 
Ⅲ. 처분의 위법판단의 기준시가 처분시라는 의미 595 
제9목 처분사유의 추가․변경 596 
제10목 취소소송의 판결의 종류 602 
Ⅰ. 서 설 602 
Ⅱ. 각하판결 602 
Ⅲ. 본안판결 603 
제11목 판결의 효력 610 
Ⅰ. 개 설 610 
Ⅱ. 불가변력(자박력) 610 
Ⅲ. 확정력 610 
Ⅳ. 형성력 615 
Ⅴ. 기속력 618 
Ⅵ. 법원의 간접강제 624 
제12목 판결에 의하지 않는 취소소송의 종료 628 
제13목 상소와 재심 631 
제2항 무효등 확인소송 633 
Ⅰ. 서 설 633 
Ⅱ. 취소소송과의 관계 633 
Ⅲ. 주요소송요건 636 
Ⅳ. 집행정지, 관련청구소송의 이송 및 병합, 소의 변경, 소송참가 639 
Ⅴ. 소송의 심리 640 
Ⅵ. 판결 및 소송의 종료 641 
제3항 부작위위법확인소송 643 
Ⅰ. 개 설 643 
Ⅱ. 주요소송요건 643 
Ⅲ. 집행정지, 관련청구소송의 이송 및 병합, 소의 변경, 소송참가 646 
Ⅳ. 소송의 심리 648 
Ⅴ. 판결 및 소송의 종료 649 
제3절 당사자소송 651 
Ⅰ. 개 설 651 
Ⅱ. 당사자소송의 종류 658 
Ⅲ. 소송요건 및 절차 665 
Ⅳ. 판결 및 소송의 종료 670 
제4절 객관소송 671 
Ⅰ. 의 의 671 
Ⅱ. 객관소송의 종류 671 
Ⅲ. 객관소송의 법적 규율 675 
제5절 그 밖의 행정소송 676 
Ⅰ. 의무이행소송 676 
Ⅱ. 예방적 금지소송 677 
제4장 헌법소원 679 
Ⅰ. 헌법소원과 행정소송과의 관계 679 
Ⅱ. 헌법소원의 대상성 여부 679 
제6편 행정조직법 681 
제1장 행정조직법의 의의 683 
제1절 개 설 683 
제2절 행정주체와 행정기관 683 
제3절 행정청 685 
Ⅰ. 행정청의 권한 685 
Ⅱ. 권한의 위임 685 
Ⅲ. 권한의 내부위임 689 
Ⅳ. 권한의 대리 690 
제4절 행정청 상호간의 관계 692 
Ⅰ. 상·하 행정청간의 관계 692 
Ⅱ. 대등 행정관청의 관계 695 
제5절 국가의 중앙행정조직 697 
Ⅰ. 개 설 697 
Ⅱ. 감사원 697 
제2장 지방자치법 702 
제1절 개 설 702 
Ⅰ. 지방자치의 개념 702 
Ⅱ. 지방자치단체의 법적 지위 및 종류 703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구성요소 704 
제1항 구 역 704 
Ⅰ. 의 의 704 
Ⅱ. 구역변경 및 경계변경 704 
제2항 주 민 707 
Ⅰ. 의 의 707 
Ⅱ. 주민의 권리 707 
제3항 조 례 715 
Ⅰ. 조례의 의의 715 
Ⅱ. 조례의 한계 715 
Ⅲ. 조례의 하자 721 
Ⅳ. 조례의 통제 723 
Ⅴ. 규 칙 727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729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732 
Ⅰ.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 732 
Ⅱ. 지방의회의 통제권의 범위 733 
제5절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 735 
Ⅰ. 개 설 735 
Ⅱ. 분쟁의 조정 735 
제6절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관여 738 
Ⅰ. 감독청의 시정명령 및 취소․정지 738 
Ⅱ. 감독청의 직무이행명령 743 
제7절 공무원관계의 발생·변경·소멸 745 
제3장 공무원법 745 
제1절 공무원관계의 발생 · 변경 · 소멸 
Ⅰ. 임 명 745 
Ⅱ. 전 보 750 
Ⅲ. 직위해제 751 
Ⅳ. 공무원관계의 소멸 755 
제2절 권익의 보장 및 행정구제 758 
제3절 공무원의 권리·의무·책임 764 
Ⅰ. 공무원의 재산상 권리 764 
Ⅱ. 직무명령의 적법요건과 부하공무원의 심사권 766 
Ⅲ. 비밀엄수의무 768 
Ⅳ. 품위유지의 의무 768 
Ⅴ. 공무원의 징계책임 769 
Ⅵ. 공무원의 변상책임 772 
제7편 특별행정작용법 775 
제1절 공무원관계의 발생·변경·소멸 ❙ 
제1장 경찰행정법 777 
제1절 개 설 777 
제2절 경찰작용의 근거 778 
제3절 경찰작용의 한계 780 
제2장 급부행정법 788 
제1절 공물법 788 
Ⅰ. 공물의 개념 및 종류 788 
Ⅱ. 공물의 성립과 소멸 789 
Ⅲ. 공물의 법적 특색 794 
Ⅳ. 공물관리와 공물경찰 797 
Ⅴ. 공물관리권의 행사로서 변상금의 부과 및 징수 799 
Ⅵ. 공물의 사용관계 802 
제2절 자금지원행정 810 
제3장 공용부담법 813 
제1절 개 설 813 
Ⅰ. 공용부담의 의의 813 
Ⅱ. 공용부담의 종류 813 
제2절 인적 공용부담으로서 부담금 814 
제3절 공용제한 816 
Ⅰ. 공용제한의 의의 816 
Ⅱ. 개발제한구역 816 
제4절 공용수용 817 
Ⅰ. 공용수용의 의의 817 
Ⅱ. 공용수용의 절차 817 
Ⅲ. 토지보상법상 손실보상의 내용 830 
Ⅳ. 공용수용의 효과 842 
Ⅴ. 환매권 843 
제4장 건설행정법 850 
제1절 건축법의 주요 내용 850 
Ⅰ. 정 의 850 
Ⅱ. 건축허가와 건축신고, 건축협의 851 
Ⅲ. 건축법과 주택법의 비교 853 
제2절 국토계획법 854 
Ⅰ. 용도지역제 854 
Ⅱ. 개발행위허가 857 
Ⅲ.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 861 
제3절 공용환지·공용환권 864 
Ⅰ. 공용환지(도시개발사업) 864 
Ⅱ. 공용환권(주택재건축·재개발사업) 868 
제4절 각종 토지관련 제도 879 
Ⅰ. 토지거래허가제 879 
Ⅱ. 공시지가 880 
제5장 환경행정법 885 
제1절 환경영향평가 885 
Ⅰ. 환경영향평가의 종류 885 
Ⅱ. 환경영향평가의 절차 886 
제2절 환경영향평가와 행정소송 887 
Ⅰ. 개 설 887 
Ⅱ. 원고적격 887 
Ⅲ. 환경영향평가의 하자와 승인처분의 효력 889 
제6장 조세법 892 
Ⅰ. 조세의 의의 및 종류 892 
Ⅱ. 조세의 부과 및 징수에 대한 권리구제 894 
판례색인 901


  • 이 책을 사용하는 강의
  • 이 책에 대한 보충자료
  • 관련상품
  • 책소개
  • 인기 수험용품
  • 교환 및 반품정보
  • 이 책을 사용하는 강의
  • 이 책에 대한 보충자료
  • 관련상품
  • 책소개
  • 인기 수험용품
  • 교환 및 반품정보
주문 안내
◇ 스프링분철은 도서 사진 옆 [스프링분철]란에 숫자를 클릭하시면 선택 가능합니다. 별도의 요청사항이 있으시면 <법문서적에 남기실 말씀>란에 적어주시면 됩니다.
도서 비닐커버 서비스 신청은 < 주문하기 단계> 에서 선택가능하십니다.
◇ 주문 시 <휴대전화>란에 핸드폰 번호를 적어주셔야 배송 상태를 알려주는 문자 수신이 가능합니다. 문자는 [1]배송 준비 알림 [2]배송 완료 알림(송장번호) 총 2번 발송됩니다. 결제 후 1~2일 안에 [1]번 문자를 받지 않으셨을 경우 ☎ 02-882-3333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배송 안내
50,000원 이상
이상구입 시 무료 배송이며, 50,000원 미만은 2,500원이 합산되어 부과됩니다.
◇ 본 상품의 평균 배송일은 입금 확인 후 평일기준 1~3일입니다. 단, 상품이 품절, 개정 등의 사유로 배송이 1~2일정도 지연될 수 있습니다.
평일 오후 5시까지 결재 확인시<<토&일&공휴일 발송 불가>> 우체국택배를 이용하여 당일 발송이 되며 발송 후 1~2일안에 상품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 저희서점에서 물건을 발송하는 당일날짜로 주문상태가 배송완료로 기록되며, 실제 고객님이 상품을 수령하는 날은 배송완료 이후 1~2일(48시간) 소요됩니다.
◇ 제주도 및 도서 지역은 별도의 비용(6,500원)이 청구됩니다. 단, 50,000원 이상 주문시 2,500원 차감된 4,000원이 청구됩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 반품 택배비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환불시에는 <<착불선택시>> 배송비 3000원~(중량에 따라 차감)을 부담하셔야 합니다. 타택배사 이용 가능합니다.
◇ 도서는 받으신 후 3일 이내에 교환/반품/환불이 가능하며, 상품에 아무런 하자가 없는 경우 소비자의 고객변심에 의한 교환은 상품의 포장상태 등이 전혀 손상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가능합니다.
◇ 도서비닐커버 서비스를 이용하셨을 경우 도서 반품 시 권당 500원씩 차감되어 환불됩니다.
◇ 신청방법
- 우체국택배( ☎ 1588-1300-><1>)를 이용하셔서 착불 혹은 선불로 선택 후 택배반품신청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문자로 보내드린 등기번호 필요) 반품 도서 수령 후 환불 금액에서 배송비(3000원~) 차감됩니다.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은 반품 후 재주문해 주셔야 합니다.
- 도서와 함께 주문자의 성함 & 연락처 & 환불원함 의 메모를 반드시 넣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반품주소 : 서울시 관악구 신림로 23길 16 (일성트루엘) 2층 법문서적 ☎ 02-882-3333
-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면 마이페이지의 [교환,환불]란 혹은 전화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 반품/교환 불가
- 출판사의 방침이나 면접,인적성 등 시즌성도서, 봉투모의고사, 8절도서, 서브노트, 상하반기 판례류 등 교환이나 환불이 불가능한 상품도 있음을 유의해 주십시오.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예, 래핑 제거 등)
- 도서 특성(종이) 및 택배 배송으로 인한 미세 흠집 및 구겨짐의 경우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예, 스프링 분철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배송으로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반송 시 포장미비로 도서가 훼손된 경우